ALL 49

졸작 ) 190104

기획 통과가 되고 정말루 시작해야 될 때가 다가와버렸다 조금이라도 더 즐겁게 화면을 보고 있으려고, 공부하려고 임시로 파놓은 씬 배경화면을 경수씨로 깔아버렸다 ?? 숙련도도 높일겸 책+유투브+도큐먼트 보면서 조금씩 이것저것 건드려보는중앵커 프리셋쪽이 잘 쓰면 멋진 기능일 것 같은데, 한번에 이해하기에는 인터페이스가 확 안들어온다. 나머지도 그렇구 뭔가 다렉이나 오픈지엘을 쓰는것보다는 훨씬 쉬울 줄 알았는데,역시 숙련도에 따라서 엔진은 천자만별인가 보다. 다렉9나 mfc로 짰으면 빡집중해서 하루 이틀 정도면 다 만들었을 것 같은데 유니티는 쉽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시작했는데 엔진공부랑 병행하니까 생각보다 한 5배(+20배)정도 늦어지는 것 같다. 늦어지는 이유에는 만들고 싶은 게임 툴 디자인이 내 마음속..

개발중/졸작 2019.01.04

181210 학교 텀프로젝트

어제 AABB충돌, 박자에 맞춘 카메라 회전, 박자에 맞춘 패턴출력, 파티클, 뷰전환, 씬나누기를 진행했다.코드를 확장성있게 짜려고 해서 이제 이대로 스테이지만 더 찍어내면 될텐데 시간이 없어서 넘 아쉽다 프레임워크 2시간에 fmod쓰느라 삽질한거 몇시간하고어제 오늘 해서 18시간 한거같다 (거진 한달짜리 텀프인데 ..) 최선을 다하진 않아서 발표를 잘 할수 있으려나(p〒д〒q) 곡은 The Chainsmokers- Something Just Like This에 맞춰서 했다 반디캠으로 찍으면 싱크가 뭔가 안맞는 느낌인데 실제로는 괜춘하다피격시 효과음을 넣는걸 깜빡했더니 허전하다개발을 했지만 내가 못꺠겠어서 레벨디자인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움짤이 왜케 깨진다냐

개발중/Etc 2018.12.10

181209 학교 텀프로젝트

한달짜리 OpenGl로 만드는 학교 프로젝트인데 시험+다른텀프로젝트+과제+실습 등등으로 거의 5일정도 한거같은데..음악 박자마다 패턴나오고 피하는 식으로 갈 것 같다.원래 스펙트럼 분석 해서 특정 악기 헤르츠마다 패턴을 넣어주려고 했는데,오브젝트 몇십개 이상 띄우면 원하는 프레임 띄우기도 힘들거 같아서, 그냥 bpm에 맞춰서 출력하려고 노선을 바꿨다 !음악의 하이라이트나 고조되는 부분마다 패턴을 바꿀껀데, 이게 완전 노가다+수작업이라는걸 만들면서 느꼈다.생각해보니 코드적으로 하이라이트나 이런걸 알아내기가 어렵다는것을 진행하면서 알아버렸다 (...) 그냥 단순한 탄막게임이나 만들껄 괜히 시작했다 ㅠㅠ 나는 패턴과 음악쪽을 맡아서, 일단 여러가지 만들어놓은 상태이고 (아직 할일이 태산인데 내일 제출이다!)친..

개발중/Etc 2018.12.09

졸작) 기획준비

개강 후, 교수님과 면담을 하면서 기획서를 다듬어 나가는 기획 수업 진행중. 팀원들과 상의해서 방향을 정하고, PPT를 5-60장 만들어서 구체화하고 발표해야한다.학원에서는 포토폴리오와 단체 의견에 따라서 디펜스 게임을 만들었었는데, 애정이 있는 장르가 아니다 보니까 좋아하는 컨텐츠를 구현할때도 재밌다기보단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음이 컸었는데, 이번 졸작은, 정말 애정있게 만들고싶어서 하고싶은 장르를 하면서, 재밌게 개발 할 수 있는것을 하고싶다. 아마 슈팅+액션+리듬+던전+....(등등..)게임이 될 것 같다?..모아서 쓰고나니까 혼파망같은 느낌이 드는데 머리속으로 대강 생각해본 그림은 나쁘지 않아보임 자세한 기획은 구체화 되어도 여기 올리진 못하겠지만, 진행상황은 올릴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개발중/졸작 2018.09.06

일정관리에 효율적인 'TRELLO'

개인 작업을 할 때도, 일정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팀 단위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하면, 서로의 일정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불가결적인 요소가 된다. 팀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알아보게 해주는 것을 'Trello'가 지원을 해주는데,'보드', '리스트', '카드' 이 세 가지를 통해 쉽고 편한 일정 관리를 도와준다. https://trello.com 클릭 시 사이트로 넘어갑니다. 가입하고 보드를 만들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을 텐데, 아래정도만 알아도 사용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겪지 않는다. 큰 틀을 리스트로 잡고 ( 가장 보편적으로 To Do, Progress, Done 이런 식으로 )그 안의 일정을 카드로 관리하면 된다 ( ex - To Do 리스트에 '장보기'카드 ) 카드를 만들면..

정보 2018.07.07